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LED 전광판 밝기 정의

by 피에스티 2025. 11. 12.

 

 

 

LED 전광판 밝기 정의 인포그래픽, 니트(nit)와 칸델라(cd) 단위 차이를 시각적으로 설명한 이미지
LED 전광판 밝기 정의|니트·칸델라 단위 차이

 

💡 2025 LED DISPLAY 기술 가이드

LED 전광판의 품질을 결정하는 핵심 지표 중 하나가 바로 밝기(Brightness)입니다. 오늘은 ‘니트(nit)’ 단위가 무엇을 의미하는지, 그리고 실내형·옥외형 전광판의 밝기 기준을 명확히 정리해드립니다.

📋 목차
  1. LED 전광판 밝기의 단위 '니트(nit)'란?
  2. 밝기 측정 방식과 공식
  3. 실내형 vs 옥외형 전광판 밝기 기준
  4. 밝기가 높으면 무조건 좋은가?
  5. 자동 밝기 조절 시스템(센서 제어)
  6. 환경규제 및 인체 눈부심 기준
  7. 전광판 밝기 선택 가이드

1️⃣ LED 전광판 밝기의 단위 ‘니트(nit)’란?

LED 전광판의 밝기는 ‘니트(nit)’ 또는 ‘칸델라(cd/㎡)’ 단위로 표시됩니다. 1 nit = 1 candela per square meter (㎡) 로, 즉 “1㎡ 면적에 발산되는 빛의 세기”를 뜻합니다.

예를 들어, 5000nit 전광판은 1㎡ 면적에서 5000cd(칸델라) 만큼의 빛을 내보내는 밝기라는 의미입니다.

2️⃣ 밝기 측정 방식과 공식

밝기(Brightness)는 다음 공식으로 정의됩니다:

밝기(nit) = 광도(cd) ÷ 면적(㎡)

따라서 같은 LED 모듈이라도 면적이 작을수록 밝기는 높게, 넓을수록 낮게 측정됩니다. 또한 모듈의 **전류량, 칩 품질, 방열 설계**에 따라 실측 밝기 차이가 큽니다.

3️⃣ 실내형 vs 옥외형 전광판 밝기 기준

구분 밝기 기준 (nit) 적용 예시
실내용 전광판 1000 ~ 2500nit 회의실, 로비, 전시장, 학교 강당
반실외형 3000 ~ 5500nit 매장 전면, 실외그늘, 유리창 내부
옥외형 전광판 5500 ~ 8500nit 이상 건물 외벽, 공장, 교회, 버스정류장

4️⃣ 밝기가 높다고 무조건 좋은가?

아닙니다. 밝기가 높으면 주간 시인성은 좋아지지만, 야간에는 눈부심과 전력 소비가 급격히 늘어납니다. 특히 도심지·학교 인근에서는 과도한 밝기로 인해 민원 발생 가능성이 높습니다.

5️⃣ 자동 밝기 조절 시스템 (센서 제어)

최신 전광판은 조도센서를 이용해 주간에는 밝게, 야간에는 자동으로 낮게 조정됩니다. 이를 Auto Brightness Control이라 하며, Huidu·Novastar 컨트롤러 대부분이 지원합니다.

예시 세팅값:

  • 주간: 7000nit
  • 저녁: 3500nit
  • 야간: 1200nit

6️⃣ 환경규제 및 눈부심 기준 (2025)

한국환경공단 기준에 따르면, 도로변·주거지역 전광판은 야간 5000nit 이하로 유지해야 하며 과도한 휘도(밝기)는 빛공해 방지법에 따라 제재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 결론: 밝기는 용도 + 환경 + 시간대 조화로 결정

  • 실내용은 1000~2500nit면 충분
  • 옥외형은 5500~8000nit 이상 권장
  • 야간 자동조절 기능은 필수
  • 도심지 설치 시 ‘빛공해 기준’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