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LED 전광판용 KC인증, 왜 꼭 받아야 할까?

by 피에스티 2025. 11. 6.

LED 전광판용 KC인증, 왜 꼭 받아야 할까?
LED 전광판용 KC인증, 왜 꼭 받아야 할까?

⚡ LED 전광판 안전 인증 필수 정보

옥외전광판부터 실내 LED 비디오월까지, KC인증은 제품 신뢰와 납품 자격의 기준입니다. 인증 종류, 절차, 기간, 비용까지 한눈에 정리했습니다.

📑 목차

  1. KC인증이란 무엇인가?
  2. LED 전광판에 적용되는 KC인증 종류
  3. KC인증 절차 (신청 → 시험 → 발급)
  4. KC인증 소요기간 및 비용
  5. KC인증 미비 시 발생하는 문제
  6. KC인증 받은 LED 전광판의 장점
  7. 정부지원금 사업 연계 팁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1️⃣ KC인증이란?

KC인증(Korea Certification)은 전기·전자제품의 안전, 전자파, 품질을 검증하는 대한민국의 법정 의무 인증입니다. 산업통상자원부 산하의 한국제품안전관리원(KATS)이 관리하며, ‘소비자 안전’을 목적으로 2011년부터 일원화되어 시행 중입니다.

2️⃣ LED 전광판에 적용되는 KC인증 종류

LED 전광판은 크게 세 가지 인증 항목을 충족해야 합니다.

  • ① 전기안전인증 — 전원부, SMPS, 모듈 PCB, 컨트롤러에 대한 안전성 시험 (KS C IEC 60950 등)
  • ② 전자파적합등록(EMC) — 인버터, 제어기, 송수신 장치에서 발생하는 전자파 간섭 시험 (KS C 9832)
  • ③ 에너지효율등급(선택) — 공공기관 납품 시 조달청 납품 요건으로 요구되는 경우 존재

3️⃣ KC인증 절차 (신청 → 시험 → 발급)

  1. 신청서 제출 — 제조자·수입자 정보, 제품 사양서, 회로도 제출
  2. 시료 시험 — 공인 시험기관(KTC, KTR, FITI 등)에서 안전 및 전자파 시험
  3. 공장 심사 — 대량 생산 시 제조설비·품질관리 기준 확인
  4. KC마크 발급 — 시험성적서 및 심사결과 검토 후 발급
💡 TIP: 소규모 LED 업체는 ‘부분 모듈’ 단위로 인증받는 것이 효율적입니다. 전원 공급장치(SMPS)나 모듈 PCB만 인증받고, 완제품 형태로는 조립형으로 납품할 수도 있습니다.

4️⃣ KC인증 소요기간 및 비용

구분 내용
시험기간 약 3~4주 (시료제출~발급까지)
시험비용 1제품 기준 약 150~250만원 (시험기관·항목별 상이)
유효기간 5년 (공장심사 유지 시 연장 가능)

5️⃣ KC인증 미비 시 발생하는 문제

  • 옥외광고물 허가 거부 (지자체 신고 반려)
  • 조달청·공공기관 납품 제한
  • 소비자 안전사고 발생 시 형사책임
  • KC 미표시 제품은 유통·판매 금지

6️⃣ KC인증 받은 LED 전광판의 장점

KC인증 제품은 ‘신뢰성’과 ‘납품 경쟁력’을 동시에 확보합니다. 특히 공공기관이나 대기업 프로젝트에서는 입찰 시 KC인증서 제출이 기본 요건입니다.

  • 품질 신뢰도 상승 및 소비자 만족도 향상
  • 안전사고 및 전기누전 리스크 최소화
  • 정부·지자체 지원사업 참여 용이

7️⃣ 정부지원금 사업 연계 팁

KC인증을 받은 LED 전광판은 소상공인 간판개선사업, 디지털전환 바우처, 에너지효율화 지원사업 등 정부 보조금 사업에서 필수 요건으로 인정됩니다. 즉, 인증을 미리 확보해두면 보조금 신청 시 가점 또는 우대 심사를 받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