옥외용 LED 전광판(디지털 옥외광고물) 밝기를 “법적 한도(야간)”와 “현장 추천치(주간/야간)”로 나눠 깔끔하게 정리해 드릴게요.
(용어: 1 nit = 1 cd/㎡, lux = 조도)
한눈에 보는 결론
- 주간 추천 밝기(가시성 기준)
- 도심 간판/파사드: 5,000~8,000 nit
- 대로변·고속도로 대형 보드: 6,500~10,000 nit(직사광·서향 노출 시 상단 권장)
- 투명 LED(쇼윈도): 3,000~6,500 nit
- 야간 운용: 반드시 **자동 조광(조도센서/스케줄)**로 대폭 감광 + 법적 한도 준수
1) 대한민국 ‘야간 법적 한도(핵심만)’
대한민국 빛공해 방지 체계는 지역을 E1(자연)~E4(상업·공업)로 나눠 전광류 광고물의 야간 **발광표면 휘도(=화면 밝기)**와 주거지 연직면 조도(=창문에 들어오는 빛) 한도를 정합니다.
전광류 광고물 야간 ‘발광표면 휘도’ 최대값(요지)
- 해진 후 60분~24:00:
- E1: ≤ 400 cd/㎡, E2: ≤ 800 cd/㎡, E3: ≤ 1,000 cd/㎡, E4: ≤ 1,500 cd/㎡ 이즈리법률
- 24:00~해 뜨기 60분 전:
- E1: ≤ 50 cd/㎡, E2: ≤ 400 cd/㎡, E3: ≤ 800 cd/㎡, E4: ≤ 1,000 cd/㎡ 이즈리법률
‘주거지 연직면 조도’(창문에서 허용되는 빛)
- 야간 최대값: E1 = 10 lux, E2~E4 = 25 lux (점멸·동영상은 최대값으로 판단) 이즈리법률+1
지자체는 상위법을 근거로 조례·가이드를 세부화합니다. 서울 등 지자체는 허가 시 빛공해 기준 준수를 명시하고 있어, 설치 전 해당 지자체 조례·고시를 반드시 확인하세요. 국가법령정보센터
2) 국제·업계 ‘권고 룰’(야간 현장 측정)
- ISA(International Sign Association) 권고: 야간 주변밝기(ambient) 대비 **+0.3 foot-candle(≈ +3.2 lux)**를 넘지 않도록 설정(표준 거리에서 측정). 과도한 눈부심·민원·에너지 낭비 예방에 효과적.
- DarkSky(IDA) 가이드: **주·야간 사이 점진적 디밍(서서히 밝기 전환)**을 권장, 흰 화면 기준으로 야간 설정 확인.
변환식: 1 foot-candle ≈ 10.764 lux → 0.3 fc ≈ 3.2 lux
3) 엔지니어링 관점 ‘현장 추천 밝기(주간/야간)’
도심 간판/파사드 | 5,000~8,000 nit | 150~400 nit(E3 기준), 0시 이후 더 감광 | 자동조광 + 조례 한도 준수 |
대로변·고속도로 보드 | 6,500~10,000 nit | 200~600 nit(E3~E4 범위 내), 0시 이후 단계 감광 | 운전자 주의분산 방지 전환 효과 완만히 |
광장/랜드마크 3D 코너 | 6,500~8,500 nit | 200~500 nit | 하이라이트/화이트 면적 큰 콘텐츠 주의 |
투명 LED(쇼윈도) | 3,000~6,500 nit | 100~300 nit | 내부가 보이는 특성상 야간은 더 낮게 |
경기장/특수 고휘도 | 8,000~10,000+ nit | 300~700 nit | 촬영·연출 목적, 민원·법적 한도 동시 고려 |
위 값은 가시성·민원·전력·디스플레이 수명을 균형 잡은 실무 권장 범위입니다. 최종 값은 **지자체 한도(E1~E4)**와 ISA 0.3 fc 룰을 동시에 만족하도록 자동조광으로 운영하세요.
4) “밝기 세팅” 실행 체크리스트
- 자동조광 필수: 외부 조도센서 + 시간 스케줄(일몰~1시간 사이 점진 감광, 24시 추가 감광).
- 야간 검증법 두 가지 병행
- **휘도계(luminance)**로 흰 화면 밝기 측정 → 지자체 한도(cd/㎡) 이내 확인.
- **조도계(illuminance)**로 주거지 창면 연직면 조도(lux) 측정 → 10/25 lux 이내 확인.
- ISA 0.3 fc 룰: 지정 거리에서 주변(화면 OFF)과 화면 ON 차이가 +3.2 lux 이내인지 체크.
- 콘텐츠 튜닝:
- 야간엔 큰 흰 면·플래시·고명도 전환을 줄이고, 천천히 바뀌는 장면/로우키 백그라운드 사용.
- 로그·리포트: 계절·해 길이 변화에 맞춰 월 1회 밝기 로그와 분기별 야간 실측 리포트를 남겨 민원/점검 대응.
5) 자주 묻는 질문(FAQ)
Q1. “주간 8,000 nit면 너무 밝지 않나요?”
A. 직사광/서향·반사 많은 환경에서는 7~8천 nit가 문자/로고 가독성을 확보합니다. 단, 야간 자동 감광이 반드시 전제입니다.
Q2. “법적으론 cd/㎡(nit)인데 ISA는 lux(0.3 fc)를 말하네요?”
A. 우리나라는 표면 휘도·연직면 조도를, ISA는 **야간 체감眺 시야(주변 대비)**를 권고합니다. 둘 다 만족하면 민원·가독성·에너지를 동시에 최적화할 수 있습니다.
Q3. “서울은 따로 더 엄격한가요?”
A. 서울 등 대도시는 빛공해 계획·가이드를 운영하며, 조례에서 상위법 준수를 명시합니다. 설치 전 관할 구청의 최신 조례·가이드를 확인하세요.
6) 샘플 야간 디밍 스케줄(도심 E3 가정)
- 일몰~+1h: 700 → 400 nit(점진 디밍)
- ~24:00: ≤ 1,000 cd/㎡ 한도 안에서 300~400 nit 운용
- 00:00~일출-1h: ≤ 800 cd/㎡ 한도 안에서 150~250 nit
- 민원 발생/주거 인접: ISA 0.3 fc 기준 재점검 + 추가 감광/콘텐츠 조정
정리
- 주간은 5,000~10,000 nit 범위에서 현장 조도로 결정.
- 야간은 **법적 한도(E1~E4)**와 ISA 0.3 fc를 동시에 만족하도록 자동조광·완만한 전환이 정답입니다.
- 설치 전 지자체 조례/가이드를 최종 확인하세요
출처: https://ledplus.tistory.com/entry/옥외용-LED전광판-밝기-기준 [LED전광판 비교·추천:티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