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교통용 스마트디스플레이 — 버스정류장·지하철 전광판 시스템 분석
실시간성·가독성·내구성이 생명이다
1. 시스템 개요
BIS(버스정보시스템)/철도센터와 연동하여 도착예정·혼잡도·우회정보 등을 실시간 제공. 장애 시 로컬 백업 템플릿으로 전환하는 이중화가 필수입니다.
2. 하드웨어 표준
| 항목 | 권장 | 비고 |
|---|---|---|
| 밝기 | ≥ 3,500 nits(반실외) | 야간 감광 |
| IP등급 | IP65 전면 | 비·먼지 |
| 패널 | P3~P5 | 가독성 |
| 전원 | 이중화 SMPS | 중단 방지 |
3. 소프트웨어/통신
- 표준 API 수신 → 파싱 → 템플릿 렌더링
- LTE/5G + 유선 백업망
- CMS 스케줄 + 긴급방송 우선권
시각장애인 음성안내, 비상상황 알림은 별도 하드버튼 제공이 효과적입니다.
4. UX 가독성 규칙
- 한글 고딕 24~48pt(거리 가독)
- 노란/백색 텍스트 + 네이비 배경
- 스크롤 최소화, 페이지 분할
5. 유지관리·보안
원격 재부팅·온습도 로그, 펌웨어 서명검증, API 키 관리, 카메라 사용 시 개인식별 정보 미수집 정책 준수.
6. 결론
교통 디스플레이는 ‘멋’보다 ‘신뢰성’입니다. 가독성·이중화·보안 설계가 성공의 3요소입니다.